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10일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고속도로 휴게소를 늘리라고 지시했다. 민간에서 수탁 운영하는 휴게소가 비싼 가격에 음식을 판매하는 등 폭리를 취하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강 실장은 이날 비서실장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같이 주문했다고 안귀령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안 부대변인은 “경쟁이 제한되는 독과점 환경 속에 고속도로 휴게소를 운영하는 업체들이 평균 40%에 달하는 높은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다”며 “도로공사 퇴직자들이 휴게소 운영에 개입하는 이른바 '전관예우'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강 실장은 “도로공사 산하 공공기관이 직접 운영하는 직영휴게소를 대폭 확대하는 등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원칙하에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구조 전반을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고속도로 휴게소가 새로운 K-관광상품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달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한국도로공사가 민간업체에 위탁 운영을 맡긴 소위 ‘임대형 휴게소’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민간업체가 휴게소에 입점한 업체와 계약해 수수료를 받는 형태라 ‘이중 임대’로 인해 수수료율이 높아졌다는 게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식음료 가격이 비싸졌지만, 품질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설명이다. 정 의원에 따르면 전국 195개 고속도로 휴게소 가운데 임대형은 192곳이며 직영은 3곳에 불과했다.
한국경제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